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 세계 경제를 혼란에 밀어 넣은 러시아는 이미 넉 달 넘게 우크라이나 침공을 멈추지 않고 있지요.<br> <br> 그런데 아무리 굵직한 경제 제재를 가해도 러시아 경제는 오히려 살아나고 있습니다.<br> <br> 황당한 제재의 역설은 대체 왜 발생한 걸까요.<br> <br> 세계를 보다, 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시진핑 중국 주석의 주도로 열린 브릭스 화상 정상회의. <br> <br>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자리했습니다. <br> <br>나흘 뒤 모디 총리는 G7 정상 회의에 초청돼 서방 정상들과도 한 자리에 섰습니다. <br> <br>양쪽 모두에 발을 담근 인도는 우크라이나 전쟁의 수혜국으로 꼽힙니다. <br> <br>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는 미국에게 재정 지원 약속 등 러브콜을 받는 한편, 서방 수출이 막힌 러시아산 원유를 싼값에 사들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중국도 지난달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을 전 달 대비 약 28% 늘리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원유 수출 차단에 나선 서방의 제재를 인도와 중국이 무력화시키고 있는 셈입니다. <br><br>이 덕분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폭락했던 루블화 가치가 최근 7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고, 1월에서 5월 사이 러시아의 경상수지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증가하는 등 오히려 경제지표가 호전됐습니다.<br> <br>러시아는 도리어 세계 최대 곡창지대 중 하나인 우크라이나의 곡물도 가로챘습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(지난달 29일)] <br>"러시아는 기아로 세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. 세계 시장을 안정시켰던 우크라이나 곡물 공급을 막았습니다." <br> <br>대러 원유 수출 제재에 따른 원유 공급량 감소, 우크라이나산 곡물 수출 감소는 러시아가 아니라 다른 약소국들을 경제 위기 상황에 몰아넣었습니다. <br> <br>[라닐 위크라마싱하 / 스리랑카 총리(지난달 22일)] <br>"우리 경제는 완전 붕괴에 직면했습니다. 현재 우리에게 마주한 가장 심각한 문제입니다." <br><br>기름값 상승과 식량난은 전세계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스리랑카, 파키스탄을 비롯해 영국과 지구 반대편 에콰도르까지 반정부 시위도 부추겼습니다.<br> <br>팬데믹과 겹치며 대러 제재의 역습은 미국에도 악재가 됐습니다. <br><br>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와 개인소비지출 지수는 모두 40여 년 만에 최고 상승 폭을 보였습니다. <br> <br>유럽 물가 역시 1997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<br> <br>러시아는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 제한 조치 등 에너지 무기화도 가속화할 태세입니다. <br> <br>[엄구호 /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소장] <br>"유럽이 현재로는 러시아 에너지를 수입하지 않고는 좀 버티기가 어려운 현실이기 때문에 제재 수단을 동원하기 어렵다는 데에 좀 고민이 있을 것 같습니다." <br> <br>G7 국가들은 에너지 가격 안정과 러시아 돈줄 조이기를 위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로 응수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(지난달 30일)] <br>"푸틴의 수입 감소를 위해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선의 세부 사항을 연구할 것을 요청했습니다." <br><br>그러나 당장 러시아가 원유 감산에 나설 경우 공급량 감소, 기름값 인상, 러시아 이익 증가 등 대러 제재의 역설이 가중될 수 있다는 비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> <br>세계를 보다 권갑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donga.com